- 새소식
- Association news
보도자료
- 새소식
- 보도자료
|
|||||||||||||||||||
---|---|---|---|---|---|---|---|---|---|---|---|---|---|---|---|---|---|---|---|
첨부파일 |
|
||||||||||||||||||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출간 기점으로 한의학-고려의학 연구협력 확대 추진”
- 한의협, 23일 이재정-고영인 의원 공동 주최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편찬 방법과 방향 관련 국회토론회’개최…용어 연구와 표준화로 남북 전통의학 전문가 공동연구방안 모색
- 학술분야를 넘어 한반도 한약 자원 공동개발 및 한약제제 공장 건립, 남북 전통의료기술 개발 등 다각적인 교류·협력 확산 제안 □ 남북 전통의학 용어집 편찬을 계기로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연구 확대를 추진하고, 한약과 관련 산업 분야의 다각적인 교류와 협력방안을 모색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 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는 한국한의학연구원과 함께 7월 23일 오전 9시 40분부터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이재정, 고영인 국회의원(이상 더불어 민주당) 주최로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편찬 방법과 방향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 최혁용 대한한의사협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민족의학인 한의학과 고려의학을 통해 경색된 남북한 관계를 시원하게 풀어낼 수 있는 소중한 실마리가 되기를 희망하며, 남북 교류와 평화라는 시대적?역사적 소명에 발맞춰 지금까지 진행해 온 다양한 정책과 사업들을 더욱 발전시켜 남북의 번영과 공생 그리고 통일에 일조할 수 있도록 가일층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이어 열린 주제발표에서는 최문석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이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사업의 의의’를 주제로 지금까지 북한과 함께 진행했던 ‘겨레말 큰 사전’과 ‘남북 의학용어 사전’ 편찬 사업 현황 등을 소개하고,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사전 발간과 관련해 △전통의학 지식공유 및 용어 DB화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편찬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안 마련 △전통의학 용어 표준사전 편찬 및 출간(표준 용어 교과서 및 교육과정 개발, 웹 기반 남북 용어 제공 프로그램 개발)의 4단계를 제시했다.
□ 특히, 최문석 부회장은 한의학과 고려의학의 용어 연구와 표준화 사업에 그칠 것이 아니라 남과북의 연구자 네트워크와 학술교류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남북 전통의학 전문가들이 공동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한자문화권과 동북아 국가들간의 전통의학 주도권을 선점해 나가자고 주장했다.
□ 김동수 한국한의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비교용어집 편찬을 위한 남북 전통의학 협력체계 구축방안’을 주제로 한의계 남북교류협력사업 경과를 설명하고, 현재 경색되어 있는 남북관계가 개선되었을 때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사업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 이를 위해 김동수 선임연구원은 남북 전통의학 용어 표준화 기반 구축 사업을 기반으로 한반도 한약(약초) 자원 공동 발굴과 개발사업, 한약제제 공장 건립, 남북 공동 전통약재 및 전통의료기술 개발 사업 추진과 함께 남북 전통의학 교류와 협력사업을 총괄하고 선도할 ‘남북 전통의학 협력지원 센터’ 설립을 거듭 제안했다.
□ 우리 한국한의학연구원과 북한의 고려의학과학원 내에 설립을 목표로 하는 ‘남북 전통의학 협력지원 센터’는 향후 활동이 활발해지면 중국과 러시아, 중앙아시아로 협력과 공동연구 영역을 넓혀나가고, 통일 이후에는 국가 보건의료향상을 위한 전통의학 서비스 및 정책개발 연구에 매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기관으로, 지난 2019년 2월 개최된 ‘남북보건의료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국회토론회’에서도 설립 추진이 제안된 바 있다.
□ 이성우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교수는 ‘남북 과학기술 전문용어 비교 가이드라인’ 주제발표를 통해 남북한 상호 특정 용어에 대응하는 용어들이 여러 가지 있음을 지적하고, 용어집 정리에 있어 단어의 형태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형태적 관점과 개념 체계를 고려한 개념적 관점의 비교 방법을 적절히 활용해야 함을 설명했다.
□ 도원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는 남북전문용어집 편찬에 있는 향후 전문용어 통일과 표준화로 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DB 구축은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자료분석과 용어추출, 항목별 입력 등으로 완성된 DB를 바탕으로 전문가 감수를 거쳐 용어집을 편집·제작하되, 편찬자간 균질한 집필 수준을 유지할 때까지 지속적인 피드백과 수정 요청사항에 대한 기록과 편찬, 이력관리를 할 수 있는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 한편, 권영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원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 토론 및 질의응답 시간에는 최선미 한국한의학연구원 부원장, 서병관 대한한의학회 이사,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오진희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과장, 오미희 통일부 사회문화교류정책과장이 토론자로 나서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편찬 사업의 당위성과 이를 통한 남북 교류협력 확대 및 한의계의 참여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 첨 부 :
1.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편찬 방법과 방향 국회토론회’ 자료(주제발표 자료 1, 2, 3, 4 등 총 4개 파일). 2. ‘남북 전통의학 비교 용어집 편찬 방법과 방향 국회토론회’ 관련 사진자료 2부. 끝. <행사 전경>
<기념 촬영> |
이전글 | [보도자료] 한의협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관련,양의계는 황당주장 멈추고 24일 예고된 첩약 건강보험 찬성집회에 귀 기울어야” |
다음글 | [보도자료] 한의협“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결정, 환영…국민건강증진 위해 시범사업 성공에 만전 기할 것” |